최근에 미국을 따라 한국도 금리 인상을 단행하면서 외화유출이 되고, 한국장이 많이 빠지고 있는 것 같다.
 지수 추종 etf에 투자하고 있지는 않지만 개별주식도 어느정도는 시장 영향을 받는게 당연하니까 몇 가지 지표들을 보고 있다. 우리나라는 개인 자산에서 부동산 비율이 높으므로 부동산 지표도 봐야겠지만 일단 8월 기준으로 kospi의 PER, PBR이 10, 1 아래로 떨어졌다. 글을 쓰는 지금 시점(2022년 9월 30일)에는 훨씬 더 떨어져있는데 중요한 건 PBR이 1 아래로 떨어졌다는 점에서 진짜 시장은 미래가 밝지 않다고 느끼는 것 같다.
 그래도 PBR 0.9 아래 부터는 지수를 분할매수해도 괜찮지 않나? 라고 생각되는 지점 같다.

출처: 네이버 증권

그리고 부동산 관련해서는 LTV(주택 담보인정비율)와 DTI(총 부채상환비율)를 참고해서 어느 수준이 개인들이 대출 금리를 감당할 수 있을지 생각해보았다. 과거 수치로는 평균이 40%대였다고 한다.
 과열지구니 어쩌구해서 비싼 주택은 대출을 잘 안해주긴 했지만 그런 주택만 있는 건 아니니까 최근까지도 40%정도라고 생각한다면 현재 주택 가격이 내려간 상태라서 주택에서 대출이 차지하는 비율이 평균적으로 50%가 넘을거라고 생각한다. 현재 기준으로 평균 DTI도 찾지는 못했는데 DTI 규제가 40~60%정도라는 걸 감안했을 때 빌렸을 때 당시의 DTI가 40%정도라고 생각하기로 했다.(규제가 60%라도 DTI가 50~60%면 빌리기로 마음먹기 쉽지 않지 않았을까?).
 마지막으로 가처분소득에서 생계유지비로 쓰는 비율이 약 35%정도 될 것 같다. 그렇다면 가처분소득은 그닥 늘지 않고, 생계유지비만 늘었을텐데 물가상승률을 감안했을 때 생계유지비로 쓰는 가처분소득이 이제 40%를 넘을 수도 있을 것 같다.

 그럼 계산을 해보자.
 대출이자가 4%~5%대에서 6~7%가 되었다고 생각하면 DTI가 40%에서 1.5배인 60% 정도 되었을 것 같다. 그리고 인당 개인총소득과 가처분소득 수치를 참고하면 소득에서 가처분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25%정도 될 거라고 예상된다. 그럼 이제 남은 건 소득에서 15% 밖에 안 남는데 금리가 조금 더 올라서 DTI가 70~80%가 되고, 가처분소득도 줄게되면 이제 버티려고 해도 버틸 수가 없는 때가 오지 않을까..
 내가 생각하기에는 다음 금리 인상하게 되면 거의 확정이고, 변동금리 상품의 갱신시기가 되면 개인들에게 부담이 지워질텐데 그 때까지 장이 하락할 것 같고, 그 이후에 금리가 낮아지는 건 아니니까 그 상태로 횡보하지 않을까 싶다.

 그래서 결론적으로 다음 금리 인상 때까지는 특별히 생각이 바뀌지 않는 한 현금을 모으고, 10월에 중앙은행이 금리 인상을 한 후에 경기가 힘들다는게 다 반영된 후에 분할 매수를 시작하면 안전할 것 같다.

(참고 링크: http://data.krx.co.kr/contents/MDC/EASY/visualController/MDCEASY200.cmd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055556.html,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2KAA910_OECD,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42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