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main knowledge

광고 관련 용어 정리 #2

00pen 2024. 5. 24. 20:01

이번에는 저번에 말했던대로 광고 플랫폼 관련 용어들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이제는 디지털 광고, TV 광고 및 옥외 광고들에 쓰인 광고비를 보았을 때 2023년 기준 디지털 광고의 비중이 50% 이상이고 계속 증가하는 것을 보면 온라인 광고들을 중개하는 광고 플랫폼들이 중요해짐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두번째로 광고 플랫폼 종류와 디지털 광고 관련 용어를 선택했다.

- DSP(Demand Side Platform)
광고주들이 지면(광고 노출을 위한 공간)을 사기 위한 플랫폼.

- SSP(Supply Side Platform)
지면을 가지고 있는 매체(게시자)가 지면을 판매하기 위한 플랫폼.

예전에는 특정 지면에 광고를 계약하기 위해서 이해관계자 둘이 만나서 계약하는 방식이었지만
이러한 플랫폼을 사용한다면 계약할 상대방을 굳이 찾아다닐 필요없이 플랫폼 안에서 매매를 하면 된다.
DSP를 사용하여 지면을 구매할 때는 RTB(RealTime Bidding) 방식을 사용하여 가격이 결정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가격이 변한다고 보면 된다.

요즘에는 DSP와 SSP 사이를 연결하는 ad exchange라는 플랫폼도 있다고 한다.
따라서 DSP <-> ad exchange <-> SSP를 통해 네트워크 광고를 사고팔기 굉장히 편리한 시대에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광고 종류를 나열해보자면 꽤 여러가지가 있는데 대부분 단어를 보면 알 거라고 생각한다.

- DA. (Display Ad)
배너 광고라고 보면 된다. 보통 영상 볼 때 영상 근처에 있는 광고들로
띠 배너(영상 밑에 띠 형식으로 광고가 떠 있는 것)과 컴페니언 배너(영상 오른쪽이나 왼쪽에 있는 배너)가 있다.

- Native AD
네이티브 광고는 우리가 알게모르게 자주 접하는 광고로 네이버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배틀그라운드 네이티브 광고

플랫폼의 느낌을 가져가면서 게시되는 광고인데 위 사진을 보면 쉽게 이해가 될 것이다.
배틀그라운드 광고가 플랫폼의 다른 게시물과 같은 모양으로 보여지고 있다.
요즘에는 많은 플랫폼에서 사용하고 있는 광고 방식이다.

- Targeting AD
타겟팅 광고란 어떤 규칙이나 알고리즘을 이용해 특정 사용자에게 광고가 보여지도록 하는 것이다.
여성복은 여성 유저가 남성복은 남성 유저가 보는 것이 랜덤한 유저에게 보여지는 것보다 전환율이 높을 것이다.
따라서 이런 타겟팅 광고를 할 때는 유저의 관심사나 데모그라피를 수집해야할 것이다.

- Retargeting AD
리타겟팅 광고는 간단하게 이전에 보여주었던 광고를 또 보여준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봤던 광고 또는 방문했던 웹사이트를 다시 보여주는 방식으로 전환을 노리고 광고를 하는 방식이다.
기본적으로 전환율이 낮은 경우에 쓰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참고자료: https://afflift.com/f/articles/dsp-vs-ssp-clearing-up-the-difference.74/